'건축법규/건축법규'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법규/건축법규25

피난용승강기 설치 기준 및 대수 산정 방법 엘리베이터는 수직동선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건축물 규모에 따라 설치를 해야하는 종류가 다르며 기준 또한 차이가 있으니 법규에서 확인하셔야됩니다. 피난용승강기는 기본적인 승용승강기에서 피난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성능이 추가된 승강기를 뜻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피난용 승강기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1 피난용승강기 설치대상? 건축법 제64조(승강기) 고층건축물에는 제1항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는 승용승강기 중 1대 이상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피난용승강기로 설치하여야한다. >피난용승강기 설치해야하는 경우? 고층 건축물일 때 설치해야하는 승용승강기의 대수 중 한 대 이상을 피난용승강기의 구조에 적합하게 설치해야합니다. 02 피난용승강기 설치기준? 건축법 시행령 제9.. 2022. 3. 19.
승용 승강기 설치기준 및 대수산정 확인 01 승강기 설치기준? 건축법 제64조(승강기) 건축주는 6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건축하려면 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승강기의 규모 및 구조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1) 높이 31m초과 : 승강기 뿐만 아니라 비상용승강기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 2) 고층건축물 : 건축물에 설치하는 승용승강기 중 1대 이상을 피난용승강기로 설치하여야 한다. >승강기 설치기준 1. 6층 이상 2. 연면적 2,000㎡ 이상 02 승강기 종류? 승강기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 승강기의 구조별 또는 용도별 세부종류 구 분 승강기의 세부종류 엘리베이터 1)승객용 엘리베이터 2)전망용 엘리베이터 3)병원용 엘리베이터 4)장애인용 엘리베이터 5)소방구조용 엘리베이터 6)피난용 엘리베.. 2022. 3. 16.
대지면적 / 건축면적 / 연면적 건축면적 구별하기 대지면적, 건축면적, 바닥면적, 연면적에 대한 정의는 건축법 시행령 제 119조 면적 등의 산정방법에 나와있습니다. 01 대지면적? 대지의 수평투영면적 대지면적에 대한 정의 뿐만 아니라 제외되는 면적 적용 사항까지 나와 있습니다. ①건축선과 도로 사이의 대지면적 해당 필지의 대지면적을 산출할 때, 건축선과 도로 사이의 대지면적이란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뜻하는 것입니다. ②도시 및 군계획시설인 도로/공원 등이 있는 경우 02 건축면적? 건축물의 외벽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 건축면적은 말 그대로 건축물이 갖고 있는 면적을 뜻하는데 제외되는 사항이나 기준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조례나 하단 법규까지 확인해야합니다. ①처마, 차양, 부연 등 외벽 중심선으로부터 수평거리 1M이상 돌출부분.. 2022. 3. 2.
건축선 정의 및 종류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솔몽입니다! 오늘은 건축의 기본 개념이라고도 할 수 있는 건축선의 정의 및 종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건축선? 도로와 접한 부분에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선 건축선의 정의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축법에서 확인해볼 필요가 있는데 이는, 건축법 제46조(건축선의 지정) 내용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이라고 한다면, 건축물은 물론이고 담장도 건축선을 넘어서는 안되며 4.5m 이하인 출입문이나 창문을 열었을 때 범위 또한 건축선을 넘어서는 안되는 기준이 있습니다. 도로와 건축선의 관계? 4M 도로를 기준으로 지정 도로와 접한 부위를 건축선으로 명칭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4M 이상일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4M 미만일 경우에는 도로 중심선에서 2m 후퇴한 선을 건축선이라고 .. 2022.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