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5 고저차가 있는 지하층산정방법 체크해보자! 지하층 산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1 지하층 정의? 건축법 제2조(정의) 5. “지하층”이란 건축물의 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층으로서 바닥에서 지표면까지 평균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2분의 1 이상인 것을 말한다. 지하층에 대해 정의를 내릴 때 봐야할 항목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1)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가? 2)평균 높이가 높이의 1/2 이상이 되는가? 이 두가지가 충족 된다면 이는 지하층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설계를 하다 보면 고저차 때문에 지하층이라 정의내리기 어려운 건축물이 있습니다. 고저차가 있는 건축물의 경우, 가중평균지표면을 산정하여 평균 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1/2 이상이 되는지 산정해야 합니다. ▶가중평균 지표면 산정 방법 가중평균지표면 산정방법 확인해보자! .. 2022. 11. 2. 가중평균지표면 산정방법 확인해보자! 지표면의 평균값을 구하여 높이 등을 구할 때 쓸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한 가중평균지표면 값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저차가 있는 대지일 경우? 1.가중평균을 이용한 평균 높이 산정 경사지의 가중평균 높이 = 접지면적/접지둘레 거실의 가중평균 높이 = 거실의 부피/거실의 면적 / 가중평균지표면? 지표면 평균 높이를 구하는 방식 고저차가 있는 경사지에 건축 된 경우, 측정 위치에 따른 높이 변화가 생기므로 변화가 없는 판단기준을 만들기 위한 평균높이의 지표면 값을 뜻한다. 2.3M마다 지표면 설정 고저차가 심할 경우, 최저와 최고값으로 평균을 내기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3M마다 지표면을 설정하여 가중편균값을 구한다. 8M의 고저차가 있는 경우, 2M - A부분 3M - B부분 3M - C.. 2022. 11. 1.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 설치기준 알아보자! 오늘은 계단의 종류와 함께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계단의 종류? 종 류 내 용 관 련 법 규 직 통 계 단 -건축물의 모든층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직접 연결되는 계단 - 피 난 계 단 -건축물의 5층 이상 또는 지하2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 -건축물 내부 설치, 건축물 바깥쪽 설치 구조가 상이함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조 특별피난계단 -건축물의 5층 이상 또는 지하2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 -부속실(3㎡ 이상)+배기 덕트+급기덕트 구성의 실을 거쳐 가는 계단 (1) 직통계단 직통계단은 피난층.. 2022. 10. 26. 전기차 설치 가이드라인 체크사항 최근 전기차 폭발 사고 관련 이슈가 생기며 전기차 관련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법규 또한 강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오늘은 전기차 관련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전기차 화재 원인? 전기차 관련 된 화재 원인은 다양하게 있는데 대표적인 원인을 네가지 꼽아보자면, 과충전 기계적 충격 과열 절연물 불량 및 파손 이 종류로 분류를 나눌 수 있습니다. 차체 바닥 부분에 배터리가 있는데 건축물에서는 소화 진압을 위한 시설이 상부에 있어 화재 진압이 초기에 어려운 것입니다. / 전기차 하부 배터리 구성요소? 고전압배터리, 저전압배터리, 인버터, 컨버터, 충전기, 구동모터 등 위의 이미지처럼 화재의 원인이 되는 고전압 배터리가 하부에 있는데 화재 진압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등은 상부에 있으므로 초기에 .. 2022. 10. 13.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