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각전제(도로모퉁이) 정의 및 법적 기준 / 적용 조건 / 고려 사항 / 실무 적용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각전제(도로모퉁이) 정의 및 법적 기준 / 적용 조건 / 고려 사항 / 실무 적용

by 솔몽 2025. 3. 19.
반응형

 

 

 


 

sum

-가각전제란?

-가각전제의 법적 기준?

-도로 기능별 분류?

-가각전제시 체크리스트

-가각전제 적용

 


 

-가각전제란?

도로의 교차점에서 교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도로모퉁이의 길이를 일정 이상 확보하는 행위

 


 

-가각전제의 법적 기준?

1) 건축법에서의 도로모퉁이의 길이 [ 건축법 시행령 제 31조(건축선) ]

8M 미만 도로 모퉁이일 경우, 도로경계선에 따라 일정 거리 이상을 후퇴해야함

도로의 교차각 해당 도로의 너비 교차되는 도로의 너비
6M 이상 8M 미만 4M 이상 6M 미만
90º 미만 4 3 6M 이상 8M 미만
3 2 4M 이상 6M 미만
90º 이상 120º 미만 3 2 6M 이상 8M 미만
2 2 4M 이상 6M 미만

 

 

2) 도시계획시설규칙에서의 도로모퉁이의 길이

도시계획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도로모퉁이의 길이 등)

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일정 기준 이상으로 도로모퉁이 길이를 설정해야함

② 교차 방식이 교통섬 및 변속차로, 로터리로 하는 경우에는 조정 가능함

③ 도로모퉁이부분의 보도 및 차도의 경계는 원호 또는 복합곡선이 되도록 할 것

④ 곡선반경은 주간선도로 / 보조간선도로 / 집산도로 / 국지도로에 따라 구별할 것

 

 

[관련 법령]

도시계획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도로모퉁이의 길이(제14조제1항관련)

 

 

 

 

[관련법령]

건축법 시행령 제31조(건축선)

도시계획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도로모퉁이의 길이(제14조제1항관련)


 

-도로 기능별 분류?

구  분 길  이 특  징
주간선도로 15M 이상 시/군내 주요 지역을 연결
대량통과 교통을 처리하는 도로
보조간선도로 12M 이상 근린주거구역 외곽 형성
집산도로 10M 이상 근린주거구역 내에서 보조간선도로에 연결
국지도로 6M 이상 가구를 구획하는 도로

 

1) 주간선도로

① 15M 이상의 도로

② 시/군내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

③ 대량통과 교통을 처리하는 도로

 

2) 보조간선도로 

① 12M 이상의 도로

② 근린주거구역 외곽을 형성하는 도로

 

3) 집산도로

① 10M 이상의 도로

② 근린주거구역 내에서 보조간선도로에 연결되는 도로

 

4) 국지도로

① 6M 이상의 도로

② 가구를 구획하는 도로

 

[관련법령]

도시계획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도로의 구분)

 


 

-가각전제시 체크리스트

구 분 내 용 체 크
법규 건축법을 적용받는가?  
도시계획시설 규칙을 적용받는가?  
안전성 차량의 시야가 확보되었는가?  
보행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가?  
곡률 원호 및 복합곡선이 기준에 맞는가?  
토지 토지 소유자를 확인했는가?  

 

 

1) 법규 확인

①  건축법에서 지정하는 가각전제 기준과, 도시계획시설 규칙의 범위가 다르므로 확인할 것

 

2) 안전성 고려

① 시야 확보 여부 판단 : 차량의 시야가 확보되었는지 확인할 것 

② 보행자의 이동 안전 확인 : 가각전제 시 보도 공간이 줄어들지 않도록 주의할 것

 

3) 설계 및 시공

① 원호 및 복합곡선 적용 여부 확인 : 도로모퉁이 시 곡률이 반영되어야 함

② 토지 소유권 문제 : 가각전제 구간이 사유지일 경우 보상 문제나 협의가 필요할 수 있음

③ 도로시설물 배치 : 가각전제 구간에 가로수, 신호등 등 시설물이 적절히 배치될 수 있도록 고려할 것

 


 

-가각전제 적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