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일기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2

정북일조? 일조권? 사선제한? 개념 '정북일조', '사선제한' 등 건축 실무를 접하거나 건축사 공부를 할 때 한번쯤 접해보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듣기만 들었을 뿐 개념에 대해서 제대로 모르는 분들을 위하여 오늘은 기본적인 사항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00 정북일조 법규 건축법 시행령 제86조(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 제한) ①전용주거지역이나 일반주거지역에서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법 제61조제1항에 따라 건축물의 각 부분을 정북방향으로의 인접대지경계선으로부터 다음 각 호의 범위에서 건축조례로 정하는 거리 이상을 띄어 건축하여야 한다.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1.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구역 안의 대지 상호간에 건축하는 건축물로서 해당 대지가 너비 20미터 이상의.. 2023. 2. 20.
단열재 종류 및 내용 간단히 정리! 01 단열재? 단열재는 열이 전도되지 않게 막는 역할로, 겨울에 추운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지 않게 하고 여름에는 더운 공기가 들어오지 않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단열재에는 각 종류별로 성능이 상이하고 지역별로 적용받는 법규 또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종류와 성능을 파악하여야 됩니다. 02 단열재 종류 구 분 내 용 특 징 비드법 단열재(EPS) 구슬 형태의 폴리스틸렌 알갱이로 만든 것 비드법1종 저렴하지만, 높은 온도에 취약함 불에 약함 빕드법2종 단열성능이 뛰어남 (네오폴, 에네포르, 제로폴 브랜드) 압출법 보온판(아이소핑크) 폴리스틸렌을 압축해서 판재 모양으로 만든 것 열전도율이 낮음 습기에 강하여 지하, 외벽에 사용 됨 물과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에 사용 가능 E보드 아이소핑크+플라스틱판재(.. 2022. 11. 11.
피난시설 / 대피공간 / 하향식 피난구 등 설치 기준 건축물 대피공간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피공간이 필요합니다. 대피공간은 법규에 의하여 설치가 되는데, 오늘은 이러한 대피공간의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1 피난시설 종류 공동주택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피난시설은 경량칸막이, 대피공간, 하향식 피난구 이렇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 대피공간? 내화구조로 되어 있는 방화문이 발코니에 설치 되어 화염 및 연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막은 시설을 의미한다. 02 대피공간 설치기준 (4층 이상인 세대가 2개 이상의 직통계단 사용 불가능한 경우 설치) 1. 외기와 접할 것 2.실내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으로 구획 3. 대피공간 바닥면적 인접세대와 공동일 경우 3㎡ 각 세대별 설치시 2㎡ 이상 ▶관련법규 발코니 등의 구조변경절차 및 설치기준 제3조(대피공간의.. 2022. 11. 8.
제연설비 및 제연휀룸 등 설치 기준 정리 제연설비는 화재시 꼭 필요한 설비로 오늘은 이에 대한 설치 기준 관련 법령 등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1 제연? 제연이란, 화재로 인하여 생긴 유독가스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 및 배출하며 유입된 매연을 희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화재 발생시, 건물 내에서 발생한 연기를 희석 + 배출 + 차단 시키는 설비 / 화재가 발생한 곳에서의 연기 및 열기를 직접 배출하여야 함 연기 침투 방지 목적으로 외기를 주입하여야 하고, 연기 배출시 배기량은 높이에 따라 산정한다. 02 제연설비 종류? 구 분 내 용 비 고 밀폐 제연 방식 1) 벽 또는 문 등으로 연기 밀폐 2) 외부의 신선한 공기 유입을 막아 제연하는 방식 3) 호텔, 주택 등 방연 구획 적은 곳에 적합 호텔, 주택 등 자연 제연 방식 1).. 2022. 11. 7.
고저차가 있는 지하층산정방법 체크해보자! 지하층 산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1 지하층 정의? 건축법 제2조(정의) 5. “지하층”이란 건축물의 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층으로서 바닥에서 지표면까지 평균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2분의 1 이상인 것을 말한다. 지하층에 대해 정의를 내릴 때 봐야할 항목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1)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가? 2)평균 높이가 높이의 1/2 이상이 되는가? 이 두가지가 충족 된다면 이는 지하층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설계를 하다 보면 고저차 때문에 지하층이라 정의내리기 어려운 건축물이 있습니다. 고저차가 있는 건축물의 경우, 가중평균지표면을 산정하여 평균 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1/2 이상이 되는지 산정해야 합니다. ▶가중평균 지표면 산정 방법 가중평균지표면 산정방법 확인해보자! .. 2022.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