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5 건축사 시험 자격 확인 및 시험과목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솔몽입니다! 곧 건축사 시험이 다가오는 가운데 오늘은 건축사 시험 자격요건 및 과목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1 건축사 응시자격? ①건축사 예비시험 합격자(2019.12.31까지 시행) → 기간 : 건축사예비시험 응시자격 취득한 날 + 5년 이상 (2026년 12월 31일까지 건축사자격시험 응시가능) ②인증대학 인증된 5년제 대학 건축학위과정 8학기 이상 이수자 /인증된 건축대학원 2학기 이상 이수자 → 기간 : 실무수련 3년 이상 ③그 외 대학 5년제 대학 건축학위과정 8학기이상 이수자 /건축학 관련 이수학점이 57학점 이상인 대학원에서 2학기 이상 이수자 → 기간 : 실무수련 4년 이상 (2023년 12월 31일까지 이수하는 경우만 해당) 한국건축학교교육인증원(KAAB)의 인.. 2022. 3. 10. 대지면적 / 건축면적 / 연면적 건축면적 구별하기 대지면적, 건축면적, 바닥면적, 연면적에 대한 정의는 건축법 시행령 제 119조 면적 등의 산정방법에 나와있습니다. 01 대지면적? 대지의 수평투영면적 대지면적에 대한 정의 뿐만 아니라 제외되는 면적 적용 사항까지 나와 있습니다. ①건축선과 도로 사이의 대지면적 해당 필지의 대지면적을 산출할 때, 건축선과 도로 사이의 대지면적이란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뜻하는 것입니다. ②도시 및 군계획시설인 도로/공원 등이 있는 경우 02 건축면적? 건축물의 외벽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 건축면적은 말 그대로 건축물이 갖고 있는 면적을 뜻하는데 제외되는 사항이나 기준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조례나 하단 법규까지 확인해야합니다. ①처마, 차양, 부연 등 외벽 중심선으로부터 수평거리 1M이상 돌출부분.. 2022. 3. 2. 건축선 정의 및 종류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솔몽입니다! 오늘은 건축의 기본 개념이라고도 할 수 있는 건축선의 정의 및 종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건축선? 도로와 접한 부분에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선 건축선의 정의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축법에서 확인해볼 필요가 있는데 이는, 건축법 제46조(건축선의 지정) 내용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이라고 한다면, 건축물은 물론이고 담장도 건축선을 넘어서는 안되며 4.5m 이하인 출입문이나 창문을 열었을 때 범위 또한 건축선을 넘어서는 안되는 기준이 있습니다. 도로와 건축선의 관계? 4M 도로를 기준으로 지정 도로와 접한 부위를 건축선으로 명칭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4M 이상일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4M 미만일 경우에는 도로 중심선에서 2m 후퇴한 선을 건축선이라고 .. 2022. 2. 16. 스케치업 버전 높은 파일 여는 루비 추천! 안녕하세요, 솔몽입니다! 일을 하다 보면 버전이 가지각색으로 다른 스케치업 때문에 높은 버전은 열리지 않는다는 불편함이 생기게 됩니다. 오늘은, 낮은 버전에서 높은 버전을 열 수 있는 루비를 하나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_Extension Warehouse 들어가기 루비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Extension Warehouse 클릭해줍니다. 스케치업 상단에 Window 탭을 들어가시면 하단에 Extension Warehouse가 있는데, 이곳에는 높은 버전을 열어주는 루비 외에도 다양한 루비들이 있는데 추후에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Eneroth Open Newer Version 검색 Eneroth Open Newer Version 이것이 바로 높은 버전의 스케치업 파일을 하위 버전.. 2022. 2. 10. 공개공지 설치기준 및 정의? 안녕하세요, 솔몽입니다! 길을 지나가다 보면 큰 건물 옆에는 반드시 공원같은 공간이 나오기 마련인데, 이를 우리는 공개공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오늘은 공개공지 설치기준과 함께 정의에 대해서 되짚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공개공지? 도시에서 일정 비율 이상을 도시민을 위한 공공공지를 확보하는 곳으로 건축법에 의하여 의무화 되어 있는 공간이다. 건축을 하는데 있어 인접대지 경계선 등으로 여분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겠지만, 이러한 공지가 없을 경우 도시는 그야말로 빽빽한 빌딩숲이 될 것입니다. 그러한 것들을 막고자 공개공지에 대한 법규가 있는 것이며 이는 건축법이나 건축법 시행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령? 건축법 시행령 공개공지 설치기준 확인하기 위해서는 건축법 시행령 제27조의 2(공개 공.. 2022. 2. 8.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