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컨텐츠/건축실무'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 컨텐츠/건축실무16

단열재 종류 및 내용 간단히 정리! 01 단열재? 단열재는 열이 전도되지 않게 막는 역할로, 겨울에 추운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지 않게 하고 여름에는 더운 공기가 들어오지 않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단열재에는 각 종류별로 성능이 상이하고 지역별로 적용받는 법규 또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종류와 성능을 파악하여야 됩니다. 02 단열재 종류 구 분 내 용 특 징 비드법 단열재(EPS) 구슬 형태의 폴리스틸렌 알갱이로 만든 것 비드법1종 저렴하지만, 높은 온도에 취약함 불에 약함 빕드법2종 단열성능이 뛰어남 (네오폴, 에네포르, 제로폴 브랜드) 압출법 보온판(아이소핑크) 폴리스틸렌을 압축해서 판재 모양으로 만든 것 열전도율이 낮음 습기에 강하여 지하, 외벽에 사용 됨 물과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에 사용 가능 E보드 아이소핑크+플라스틱판재(.. 2022. 11. 11.
제연설비 및 제연휀룸 등 설치 기준 정리 제연설비는 화재시 꼭 필요한 설비로 오늘은 이에 대한 설치 기준 관련 법령 등에 대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1 제연? 제연이란, 화재로 인하여 생긴 유독가스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 및 배출하며 유입된 매연을 희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화재 발생시, 건물 내에서 발생한 연기를 희석 + 배출 + 차단 시키는 설비 / 화재가 발생한 곳에서의 연기 및 열기를 직접 배출하여야 함 연기 침투 방지 목적으로 외기를 주입하여야 하고, 연기 배출시 배기량은 높이에 따라 산정한다. 02 제연설비 종류? 구 분 내 용 비 고 밀폐 제연 방식 1) 벽 또는 문 등으로 연기 밀폐 2) 외부의 신선한 공기 유입을 막아 제연하는 방식 3) 호텔, 주택 등 방연 구획 적은 곳에 적합 호텔, 주택 등 자연 제연 방식 1).. 2022. 11. 7.
전기차 설치 가이드라인 체크사항 최근 전기차 폭발 사고 관련 이슈가 생기며 전기차 관련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법규 또한 강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오늘은 전기차 관련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전기차 화재 원인? 전기차 관련 된 화재 원인은 다양하게 있는데 대표적인 원인을 네가지 꼽아보자면, 과충전 기계적 충격 과열 절연물 불량 및 파손 이 종류로 분류를 나눌 수 있습니다. 차체 바닥 부분에 배터리가 있는데 건축물에서는 소화 진압을 위한 시설이 상부에 있어 화재 진압이 초기에 어려운 것입니다. / 전기차 하부 배터리 구성요소? 고전압배터리, 저전압배터리, 인버터, 컨버터, 충전기, 구동모터 등 위의 이미지처럼 화재의 원인이 되는 고전압 배터리가 하부에 있는데 화재 진압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등은 상부에 있으므로 초기에 .. 2022. 10. 13.
부산광역시 건축심의 운영세칙 절차 및 필요도서 01 심의 절차 구 분 절 차 등 비 고 1. 심의 신청 신청인->허가권자 심의 신청서 및 첨부 서류 개최 25일전 2. 심의건 검토 허가권자 관련부서, 기관 협의 -관계규정 검토 -협의결과 민원인 통보 -보완사항 보완 개최 25~15일전 3. 심의 상정 허가권자->위원회 -상정 안건 작성 -내부 결재(회의안건 및 위원 선정 등) -개최계획 알림(위원 및 신청인 등) -위원에게 안건배부 (안건은 개최 7일 전에 송부하여 검토) ※필요시 위원 사전검토 의견 제출 개최 12일~개최 2일전 4.위원회 개최 허가권자, 위원회 안건개요 보고-당해업무 담당 위원회 개최(위원, 건축주 및 설계자 등 참석) 안건 설명(당해업무 담당, 건축주, 설계자 등) 위원회 회의록 작성 개최 당일 5.개최 결과 정리 허가권자 개최.. 2022. 9. 28.
반응형